40년전 막사주변 빈터에 호박, 야채를 심기 위해 조금만 삽질을 하면 여기저기 서뼈가 나오고 해골이 나왔으며 땔감을 위해서 톱질을 하면 톱날이 망가지며 파편이 나왔다. 화이버며 탄띠 조각이며 슬은 철모 등이 나 딩굴고 있었다. 실로 몇 개 사단의 하고 많은 젊음이 죽어갔다는 기막힌 전투의 현장을 똑똑히 목도한 셈이었다. 생생한 카빈총 한 자루를 거두워 왔다. 그러고는 깨끗이 손질하여 옆에 두곤 곧잘 그 주인공에 대해서 가없는 공상을 이어가기도 했다. 전쟁 당시 M1 소총이 아닌 카빈의 주인공이면 물론 소대장에 계급은 소위였다 그렇다면 영락없이 나같은 20대 한창 나이의 초급장교로산화한 것이다. 일체가 뜬 구름이요, 일체가 무상이다. 그후 세월의 밀물은 2년 가까이 정들었던 그 능선, 그 계곡에서 나를 밀어내고 속절 없이 도회적인 세속에 부평초처럼 표류하게 했지만 나의 뇌리, 나의 정서의 텃밭에는 그곳의 정감, 그곳의 환영이 걷힐 날이 없었다. 그러던 어느날 내가 TBC 음악부 PD로 근무하면서 우리 가곡에 의도적으로 관심을 쏟던 의분의 시절, 그때 나는 방송일로 자주 만나는 작곡가 장일남으로부터 신작 가곡 을 위한 가사 몇 편을 의뢰받았다. 바로 그때 제일 먼저 내 머리 속에 스치고 간 영상이 다름 아닌 그 첩첩산골의 이끼 덮인 돌무덤과 그 옆을 지켜 섰던 새하얀 산목련이었다. 나는 이내 화약냄새가 쓸고간 그 깊은 계곡 양지녘의 이름모를 돌무덤을 포연에 산화 한 무명용사로, 그리고 비바람 긴 세월 동안 한결같이 그 무덤가를 지켜주고 있는 그 새하얀 산목련을 주인공 따라 순절한 연인으로 상정하고 사실적인 어휘들을 문맥대로 엮어 갔다. 당시의 단편적인 정감들을 내 본연의 감수성으로 꿰어보는 작업이기에 아주 수월하게 엮어갔다. 초연이 쓸고 간 깊은 계곡 양지 녘에 비바람
긴 세월로 이름 모를 이름 모를 비목이여
먼 고향 초동친구 두고온 하늘가 그리워
마디마디 이끼되어 맺혔네
궁노루 산울림 달빛 타고 흐르는 밤
홀로선 적막감에 울어 지친 울어 지친 비목이여
그 옛날 천진스런 추억은 애달퍼
서러움 알알이 돌이 되어 쌓였네 이렇게 해서 비목은 탄생되고 널리 회자되기에 이르렀다. 오묘한 조화인양 유독 그곳 격전지에 널리 자생하여 고적한 무덤가를 지켜주던 그 소복한 연인 산목련의 사연은 잊혀진 채 용사의 무덤을 그려본 비목만은 그야말로 공전의 히트를 한 셈이며 지금도 꾸준히 불려지고 있다. 비목에 얽힌 일화도 한 두 가지가 아닌데, 가사의 첫 단어인 "초연"은 화약연기를 뜻하 는 硝煙인데, "초연하다" 즉 관심을 두지 않는다는 뜻으로 해석하는 경우도 있었다. 또 한때는 비목(碑木)이라는 말 자체가 사전에 없는 말이고 해서 패목(牌木)의 잘못일 것이라는 어느 국어학자의 토막 글도 있었고, 비목을 노래하던 원로급 소프라노가 "궁노루산"이 어디 있느냐고 묻기도 한 일이 있었다. 궁노루에 대해서 언급하면, 비무장지대 인근은 그야말로 날짐승, 길짐승의 낙원이다. 한번은 대원들과 함께 순찰 길에서 궁노루 즉, 사향노루를 한 마리 잡아왔다. 정말 향기 가 대단하여 새끼 염소만한 궁노루 한 마리를 잡았는데 온통 내무반 전체가 향기로 진동을 했다. 그런데 문제는 그것이 아니고 그 날부터 홀로 남은 짝인 암놈이 매일 밤을 울어대는 것 이었다. 덩치나 좀 큰 짐승이 울면 또 모르되 이것은 꼭 발바리 애완용 같은 가녀로운 체구에 목멘 듯 캥캥거리며 그토록 애타게 울어대니 정말 며칠 밤을 그 잔인했던 살상의 회한에 잠을 이룰 수가 없었다. 더구나 수정처럼 맑은 산간 계곡에 소복한 내 누님 같은 새하얀 달빛이 쏟아지는 밤이면 그놈도 울고 나도 울고 온 산천이 오열했다. "궁노루 산울림 달빛 타고 흐르는 밤" 이란 가사의 뒤안 길에는 이같은 단장의 비감이 서려 있는 것이다. 6월이면 반도의 산하는 비목의 물결로 여울질 것이다. 그러나 우직한 촌놈기질에 휴가 나와 명동을 걸어보며 눈물짓던 그 턱없는 순수함을 모르는 영악한 이웃, 숱한 젊음의 희생 위에 호사를 누리면서 순전히 자기 탓으로 돌려대는 한심스런 이웃 양반, 이들의 입장에서는 비목을 부르지 말아다오. 시퍼런 비수는커녕 어이없는 우격다짐 말 한마디에도 소신마저 못펴 보는 무기력한 인텔리겐차, 말로만 정의, 양심, 법을 되 뇌이는 가증스런 말팔이꾼들, 더더욱 그같은 입장에서는 비목을 부르지 말아다오. 풀벌레 울어데는 외로운 골짜기의 이름없는 비목의 서러움을 모르는 사람, 고향땅 파도 소리가 서러워 차라리 산화한 낭군의 무덤가에 외로운 망부석이 된 백목련의 통한을 외 면 하는 사람, 짙푸른 6월의 산하에 비통이 흐르고 아직도 전장의 폐허 속에서 젊음을 불사른 한 많은 백골들이 긴 밤을 오열하고 있다는 엄연한 사실을 망각하고 있는 사람들, 겉으로는 호국영령을 외쳐대면서도 속으로는 사리사욕에만 눈이 먼 가련한 사람, 아니 국립묘지의 묘비를 얼싸안고 통곡하는 혈육의 정을 모르는 비정한 사람, 숱한 전장의 고혼들이 지켜낸 착하디 착한 이웃들을 사복처럼 학대하는 모질디 모진 사람, 숱한 젊음의 희생 아닌 것이 없는 순연한 청춘들의 부토 위에 살면서도 아직껏 호국의 영령 앞에 민주요, 정의요, 평화의 깃발 한번 바쳐보지 못한 저주받을 못난 이웃들이여, 제발 그대만은 비목을 부르지 말아다오. 죽은 놈만 억울하다고 포연에 휩싸여간 젊은 영령들이 진노하기 전에! 글 / 작사가 韓明熙
|
'가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우정의 노래 (0) | 2011.07.22 |
---|---|
[스크랩] ^*추억속의 경음악 연주곡*^ (0) | 2011.07.22 |
[스크랩] 이태리 가곡-네곡 (0) | 2011.07.17 |
[스크랩] 스위시 영상 - 가고파 / 銀海님 作 (0) | 2011.06.28 |
[스크랩] 건전가요 모음집 (0) | 2011.06.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