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뜸의학

[스크랩] 음양 오행 속성표

목눌인 2011. 2. 10. 13:47

상대적인 관념 학습을 위한 생활 음양 도표

음(陰)

양(陽)

 

음(陰)

양(陽)

고사리

도라지

 

버섯

보리

 

식혜

생강즙

배추

 

식혜

수정과

찰밥

쌀밥

 

단무지

김치

버섯

콩나물

 

오렌지주스

녹차, 블랙커피

수정과

계피

 

풋고추

마른고추

생감자

찐감자

 

고추냉이

고추가루

두부

 

소금

후추

대추차

녹차

 

피망

청양고추

알로에

인삼

 

참기름

들기름

레몬 에이드

생강차,블랙커피

 

상추

들깻잎

짜장면

짬뽕

 

미역, 다시마

튀밥

물김치

 

이온음료

탄산음료

식초

겨자

 

수삼

인삼(건삼)

신포도주

맥주

 

매실

모과

배추

 

상추

달래

복숭아 통조림

담배

 

동치미

실고추

막걸리

빈대떡

 

대추

생강

크림스프

야채스프

 

물냉면

비빔냉면

 

된장

고추장

고구마

 

맥주

삶은 계란

와인

소주

 

토란

감자

표고버섯

영지버섯

 

송이버섯

표고버섯

맥주

웨하스

 

오이

당근

핫쵸코

생강차

 

미나리

우유

커피

 

수제비

매운고추

대추

생강

 

쌀밥

국수

스파게티

고추장 떡볶이

 

칼국수

메밀국수

배추김치

깍두기

 

박하

후추

메밀묵

도토리묵

 

신주스

블랙커피

생밤

군밤

 

수박

곶감

수박

고추냉이

 

콩국수

김치전

오이

보드카

 

찐 감자

감자 튀김

 

 

음(陰)

양(陽)

 

음(陰)

양(陽)

레몬

 

오이

고량주, 보드카

딸기,사과

아몬드

 

쌀강정

마른 귤 껍질

바나나

 

물냉면

비빔냉면

양파

 

알로에

양배추

배추

 

시금치

부추

미나리

마늘

 

미역국

매운 콩나물국

육회

매운 양념장

 

찬 우유

양주

해파리냉채

겨자

 

날계란 흰자

삶은 계란 노른자

마요네즈

고추장

 

맥주

삶은 계란

피자

핫소스

 

홍어

썩힌 홍어

햄버거

콜라

 

막걸리

매운 낙지

비프스테이크

A1소스

 

골뱅이

대구포

해삼, 굴

북어포, 노가리포

 

소세지

스넥

해삼, 멍게

인삼

 

복어(복지리)

아구(아구찜)

명태

북어포

 

복어

머리 뗀 콩나물

명태

상어

 

회충(지렁이)

담배진

고등어

명태

 

회충

산초(안회이중탕)

물오징어

오징어구이

 

돼지족발

새우꼬리(오도리)

메추리구이

 

돼지족발

닭 날개

생선초밥

고추냉이

 

펠리칸

독수리

우유

커피

 

맥주

편강, 노가리, 튀밥

소고기

닭고기

 

맥주

삶은 계란

돼지고기

소고기

 

과일안주

노가리

돼지고기

새우젓

 

곱창

마늘

조개젓

새우젓

 

삼겹살

파 절임

굴젓

새우젓

 

공포영화

애정영화

어리굴젓

 

찬 공기

더운 공기

곰탕면

매운라면

 

파란색

빨간색

설렁탕

육계장

 

노인

어린이

낙지

갈치

 

여자

남자

낙지

고추가루

 

추어탕

산초

 

추어탕

꽃게탕

 


◆ 오행 속성표 1 ◆

오행(五行)

오장(五臟)

심포, 심포

비, 췌장

모혈(母穴)

곡천

충충, 소충

대포

태연

복류

자혈(子穴)

항간

대릉, 신문

상구

척택

용천

오부(五腑)

삼초, 소장

위장

대장

방광

모혈(母穴)

혐계

중저, 후계

해계

곡지

지음

자혈(子穴)

양보

천정, 소해

여태

이간

속골

오운(내경)

궐음풍목

소음군화

소양상화

태음습토

양명조금

태양한수

오시(五時)

여름

환절기

가을

겨울

오방(五方)

중앙

오색(五色)

오기(五氣)

熱(署)

오악(五惡)

오미(五味)

酸(신맛)

苦(쓴맛)

甘(단맛)

辛(매운맛)

鹹(짠맛)

결핍시증상

한숨

딸꾹질,혓바늘,여드름

트림

재채기

하픔

오로(五勞)

구보→상근

久步→傷筋

구시→상혈

久視→傷血

구좌→상육

久坐→傷肉

구와→상기

久臥→傷氣

구입→상골

久立→傷骨

진맥

넓은맥

부드러운맥

단단한맥

울리는맥

갈고리맥

천간(양, 음)

갑, 을

병, 정

무, 기

경, 신

임, 계

지지(양, 음)

인, 묘

사, 오

진술, 축미

신, 유

해, 자

동물

범, 토끼

뱀, 말

용개, 소양

원숭이, 닭

돼지, 쥐

성격

새싹, 시작, 탄생

개화, 절정

양분, 저장, 양생

열매, 예리, 변혁

씨, 응결, 압축

지지

발생력

분열력

변화, 완화력

수렴력

응고력

혈액형

A, AB

O, B

A,B, AB,O

B,O

AB,A

먹어야할 음식

신맛

소음:쓴맛

소양:떫음맛

단맛

매운맛

짠맛

생하는 음식

짠맛

신맛

쓴맛

단맛

매운맛

피할 음식

매운맛

짠맛

신맛

쓴맛

단맛

 

결핍시 병증

목 : 간암, 간염, 잠꼬대, 늑막염, 편두통, 가래, 목쉼, 편도선염, 쥐가남, 무좀


화 :  소음 - 심장병, 얼굴부종, 다한증, 여드름, 딸국질, 말더듬, 하혈, 생리통, 유산, 고혈압

       소양 - 한열왕래, 임파선뭉침, 손발이 붓고 저림, 손바닥 벗겨지고 갈라짐, 가슴답답, 신경성질환


토 : 위궤양, 위암, 췌장암, 위산과다, 입냄새, 구안와사, 무릅통, 개기름, 비만, 속쓰림, 눕기를 좋아함, 트림.


금 : 폐렴, 폐암, 대장염, 맹장염, 직장암, 치질, 코피, 비염, 재채기, 기침, 해소, 천식, 피부병, 설사


수 : 신부전증, 신석증, 방광염, 소변 빈삭, 귀울림, 중이염, 요통, 신장성 고혈압, 골수염, 식욕부진, 잦은 하품


먹어야할 음식

목 : 신맛, 팥, 비타민C, 레모나, 개고기, 오렌지 주스, 계란, 연어, 땅콩, 아스피린, 밀가루, 잣, 간장약, 호두


화 :  소음 : 쓴맛, 커피, 짜장면, 고들빼기, 영지버섯, 수수, 염소고기, 우황청심원, 술, 씀바귀, 초콜릿, 자몽

      소양 : 떫은맛, 옥수수, 녹두, 오리고기, 양고기


토 : 닷맛, 꿀, 설탕, 감자, 무, 식혜, 기장쌀, 소고기, 칡, 좁쌀, 메조


금 : 매운맛, 현미, 율무, 고추, 생강차, 칼국수, 보리


수 : 짠맛, 소금, 콩국수, 죽염, 젓갈, 검은콩, 돼지고기, 삼겹살, 젓갈

 

* 五惡(오)는 싫어하는 것. 즉 간은 바람을 싫어하고, 심장은 열을 싫어하고, 비장은 습기를 싫어하고, 폐는 차가운 것을 싫어하며, 신장은 건조한 것을 싫어한다. 싫어한다는 것은 그 기운에 많이 노출되면 그 장부가 병든다는 것을 말한다. 한의학에선 이 오행속성이 큰 의미를 갖는다. 진단과 치료에 있어서 중요한 지침이 된다.


그러나 이 오행속성이 완전히 고정적인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전체적으로 혀는 심장에 속하고 심장의 병변을 나타내는 곳인데, 부분적으로는 혀에도 오장에 속하는 각각의 구역이 존재하는 것이다.


다른 예를 든다면 눈은 전체적으로 肝에 속한 부분이지만, 부분적으로는 흰자위는 폐, 눈동자는 간장, 검은 부위는 신장, 눈안쪽의 붉은 부분은 심장, 눈꺼풀은 비장에 속한다. 이것은 "부분속에 전체가 표현되어 있다"고 하는 현대물리학의 <프랙탈>이란 개념과 같은 것이다. (중국에서는 <全息律>이란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 오행 속성표 1/2 ◆

오행(五行)

오주(五主)

筋(근육)

血脈

肌肉(살)

오궁(五窮)

目, 발

舌, 얼굴

口, 배

鼻, 항문

耳, 음부

오화(五華)

손톱(爪)

얼굴(面)

입술(脣)

호흡(息)

머리털(髮)

오취(五臭)

(누린내 조)

(탄내 초)

香(향기 향)

(비린내 성)

(썩을 부)

오지(五志)

노(怒)

희(喜)

(소(笑))

사(思)

(려(慮))

우(憂)

(비(悲))

공(恐)

(경(驚))

오액(五液)

누(淚) 눈물

한(汗) 땀

연(涎) 군침

이(洟) 콧물

타(唾) 침

결핍시증상

한숨

딸꾹질,

혓바늘,

여드름

트림

재채기

하픔

오장(五藏)

혼(魂)

신(神)

의(意)

백(魄)

정지(情志)

오성(五聲)

호(呼)

언(言)

가(歌)

곡(哭)

신(呻)

오역(五役)

색(色)

취(臭)

미(味)

성(聲)

액(液)

오변(五變)

악(握)

악쓰다 

우(憂) 근심

얼(딸국질)

해(咳) 기침

율(慄) 두려움

감정

화냄

기쁨

생각,질투

슬픔

공포

오음(五音)

각(角)

(ㄱ,ㅋ)

징(徵)

(ㄴ,ㄷ,ㄹ)

궁(宮)

(ㅇ,ㅎ)

상(商)

(ㅅ,ㅈ,ㅊ)

우(羽)

(ㅁ,ㅂ,ㅍ)

덕목

오곡(五穀)

보리

기장

오과(五果)

자두

살구

대추

복숭아

오축(五畜)

돼지

오채(五彩)

부추

염교

아욱

콩잎

수리(數理)

3, 8

2, 7

5, 10

4, 9

1, 6

풍수

청룡

주작

구진, 등사

백호

현무

월(양, 음)

1월, 2월

4월, 5월

3 9월,

6, 12월

7월, 8월

10월, 11월

윷놀이

자동차

엑셀

엔진

기아

브레이크

오일

사상의학

태음인

소양인

분류제외

태양인

소음인

팔상의학

목음, 목양인

화음, 화양인

분류제외

금음, 금양인

수음, 수양인

이제마의 맛

매운

 

◆ 오행 속성표 2/2 ◆

오행

(五行)

체질

계란형

역삼각형

호빵형

사각형

삼각형

고시생

계획표작성

기본서읽기

모의고사

1차합격

2차합격

연애

소개팅부탁

만남

데이트

결혼

출산

능력

의사무능력

행위무능력

행위능력

후견능력

유언집행력

하루일과

기상

세면,화장

나들이

귀가

취침

인생

소년기

청년기

장년기

중년기

노년기

나무

소나무,

오동나무,

목련

벗나무,은행나무,단풍나무,장미

플라타너스,물푸레나무, 팔손이

소철,

전나무

감나무,

관음죽

향료

파,식초,

미나리

참기름,들깨,와사비,겨자

콩,된장

마늘,생강

다디기,

은행,양파

야채

고구마,양배추,부추

토마토,당근,고추,대추,

인삼,산삼

토란

더덕,

도라지

오이,곶감

과일

모과

포도

복숭아

사과

오운절기

대한~춘분

청명~망종

하지~처서

백로~입동

입동~대한

육기절기

대한~경칩

춘분~입하

소설~소한

소만~소서

대서~백로

추분~입동

음력월

12~1월

2~3월, 4~5월

6~7월

8~9월

10~11월

약한체형

원형,

사각형

사각,삼각형

삼각,

계란형

계란,

역삼각형

역삼각,

원형

병처

근(筋)

오장(五臟)

혀(설(舌))

어깨(肩)

뼈사이(谿)

변동(變動)

근육경련

(握)

근심(憂)

구토(嘔吐)

기침

떨다(慄)

기공법

진기운행법

염력공간이동

염력정공활원

천기지기

기공

송과선

기공법

오행기공법

출처 : 건강한~ 삶을 위하여
글쓴이 : 한울타리 원글보기
메모 :

'침뜸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음양오행론  (0) 2011.02.10
[스크랩] 침구학(鍼灸學)  (0) 2011.02.10
[스크랩] 오행 체질 도표  (0) 2011.02.10
[스크랩] 음양오행 이해하기  (0) 2011.02.10
[스크랩] 오수혈  (0) 2011.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