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목기술

흙막이공사 계측관리

목눌인 2012. 6. 26. 13:23

흙막이공사 계측관리
 
흙막이 공사에서의 계측은 터파기에 따른 주변 지반의 실제 거동과 지지구조물의 효과를 파악하여 공사의 안전성을 예측하고 적절한 대책을 강구할 목적으로 실시한다.
계측기의 종류
설치위치
설 치 방 법
용 도
정밀도
경사계(inclino-meter)
토류벽 또는 배면지반
굴토심도 보다 깊게 부동층까지 천공
굴착 단계별 인접 지반의 수평변위량과 방향을 실측하고, 이로부터 토류 구조물 각지점의 응력 상태 판단.
 1MM
지하수위계
토류벽
배면지반
대수층까지 천공
지하수위변화를 실측하여 각종 계측 자료에 이용하며, 지하수위의 변화 원인 분석 및 관련된 대책 수립.
 1MM
간극수압계
배면
연약지반
연약층 깊이별로 설치
굴착에 따른 과잉간극수압의 변화를 측정 안정성 판단.
 0.05T/M2
토압계
토류벽 배면
토류벽의 종류에 따라 다름
주변지반의 하중으로 인한 토압의 변화를 측정
 0.05T/M2
하중계
Strut 또는 Anchor
각단계별 굴토시 설치
Strut, anchor등의 축하중변화상태를 측정하여 이들 부재의 안정상태 파악 및 불안정한 규명에 이용
 0.05Ton
응력계
토류벽심재,Strut,띠장, 각종강재,con’c
용접 또는 접착제에 의하여 설치
토류구조물의 각부재와 인근구조물의 각지점 및 타설 콘크리트 등의 응력변화를 측정하여 이상유무 파악 및 대책수립에 이용
 50micro
-striain
건물경사계
인접구조물의 골조 또는 벽체
접착 또는 bolting
주변건물, 용벽, 철탑 등 인근 주요 구조물에 설치하여 구조물의 경사 변형 상태를 실측, 구조물 안전 진단에 활용
 0.2%
지중침하계
토류벽 배면,인접 구조물 주변
부동층까지 천공
각 지측별 침하량의 절대치의 변화 및 침하량의 속도에 대한 허용치의 판단 및 안정상태를 예측
 1MM
지표침하계
토류벽 배면, 인접구조물 주변
동결심도 보다 깊게 설치
지표면 침하량의 절대치의 변화 및 침하량의 속도에 대한 허용치의 판단 및 안정상태를 예측
 1MM
균열측정기
균열부위
균열부 양단에 표식을 설치
주변 구조물, 지반 등에 균열발생시 균열크기와 변화를 정밀 측정하여 균열크기와 변화를 정밀측정하여 균열 발생속도등을 파악하고 다른 계측결과 분석에 자료제공
 0.01MM
진동,소음측정기
대상지역
필요시 측정
굴착, 발파 및 장비 작업에 따른 진동과 소음을 측정하여 구조물 위험 예방과 민원 예방에 활용
진동:60dB
소음:70dB
 
 
------------------------------------------------------------------------
 
흙막이 공사에서의 계측은 터파기에 따른 주변지반의 실제 거동과 지지구조물의 효과를 파악하여 공사의 안정성을 예측하고 적절한 대책을 강구할 목적으로 실시한다.

1. 육안점검 : 계측업무에서는 기기계측과 함께 육안점검 및 관찰을 병행실시하여야 한다.

표4.1 육안 점검 항목

점검대상 점검항목
흙막이 벽체 - 벽체 활동
- 누수
- 균열 및 맞물림 상태
- 굴곡 상태
- 벽체와 두부변형
Strut Ground anchor Wale 지주 - 휨과 비틀림 상태
- 이음새, 접합부의 상태(Jack 부착상태)
- 단부의 변형
- 띠장의 벽과 간격
기타(주변지반, 구조물, 매설관 등) - 용수의 상황과 양
- 배수 및 배수설비의 상태
- 굴착면의 상태
- 흙막이 배면 지반의 균열, 침하 및 이동
- 포장 및 지표면의 균열
- 연석의 상태
- 구조물의 상태(균열 위치 등)
- 매설관의 상태(균열의 유무 등)
- 현장주변의 외적 하중 변화상태
- 암반굴착시 암반의 상태

2. 계측기의 종류 : 흙막이 공사에서 우선적으로 선정되어야 할 계측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표4.2 용도에 따른 계측기의 종류

종 류 설치위치 설치방법 용 도 정밀도
경사계(inclinometer) 토류벽 또는 배면지반 굴토심도보다 깊게 부동층까지 천공 굴착 단계별 인접 지반의 수평 변위량과 방향을 실측하고, 이로 부터 토류 구조물 각 지점의 응력상태 판단. ±1mm
지하수위계 토류벽 배변지반 대수층까지 천공 지하수위변화를 실측하여 각종 계측자료에 이용하며, 지하수위의 변화원인 분석 및 관련된 대책수립 ±1mm
간극수압계 배면 연약지반 연약층 깊이별로 설치 굴착에 따른 과잉 간극수압의 변화를 측정 안정성 판단 ±0.05t/m2
토압계 토류벽 배면 토류벽의 종류에 따라 다름. 주변지반의 하중으로 인한 토압의 변화를 측정 ±0.05t/m2
하중계(load cell) strut 또는 anchor부위 각 단계별 굴토시 설치 strut, anchor 등의 축하중 변화상태를 측정하여 이들 부재의 안정상태 파악 및 불안정 원인 규명에 이용 ±0.5ton
응력계(strain gauge) 토류벽심재, strut, 띠장, 각종 강재 또는 concrete 용접 또는 접착제에 의하여 설치 토류구조물의 각 부재와 인근 구조물의 각 지점 및 타설 콘크리트 등의 응력 변화를 측정하여 이상유무 파악 및 대책수립에 이용 ±50microstrain
건몰 경사계(tiltmeter) 인접구조물의 골조 또는 벽체 접착 또는 bolting 주변건물, 옹벽, 철탑 등 인근 주요 구조물에 설치하여 구조물의 경사 변형상태를 실측, 구조물 안전진단에 활용 ±0.2%
지중침하계 토류벽 배면, 인접구조물 주변 부동층까지 천공 각 지층별 침하량의 변동상태를 파악하여 보강대상과 범위의 결정 또는 최종침하량을 예측 ±1mm
지표침하계 토류벽 배면, 인접구조물 주변 동결심도보다 깊게 설치 지표면 침하량의 절대치의 변화 및 침하량의 속도에 대한 허용치의 판단 및 안정상태를 예측 ±1mm
균열측정기(crack gauge) 균열부위 균열부 양단에 표식을 설치 주변구조물, 지반 등에 균열발생시 균열크기와 변화를 정밀측정하여 균열 발생속도 등을 파악하고 다른 계측결과 분석에 자료 제공 ±0.01mm
진동, 소음측정기 대상지역 필요시 측정 굴착, 발파 및 장비 작업에 따른 진동과 소음을 측정하여 구조물 위험 예방과 민원예방에 활용 -

3. 계측빈도 : 공사 진척에 따라 현장 상황에 대응할 수 있도록 적절한 계측빈도를 설정한다. 계측빈도가 불필요하게 많으면 비용이 증가하고, Data 처리가 신속치 못하여 의사결정을 지연시킬 수 있다. 반면 너무 적으면 중요한 변화양상을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계측빈도에 대한 기본 방향을 정리하면 표4.3과 같다.

표4.3 계측기기별 측정빈도

계측항목 측정시기 측정빈도 비고
지하수위계 설치후
터파기진행중
터파기완료후
1회/일(1일간)
2회/주
2회/주
초기치 선정
강우1일후3일간 연속측정
하중계 설치후
터파기진행중
터파기완료후
3회/일(2일간)
2회/주
2회/주
초기치 선정
다음단 설치시 추가측정
다음단 해체시 추가측정
변위계 설치후
터파기진행중
터파기완료후
3회/일
2회/주
2회/주
초기치 선정
다음단 설치시 추가측정
다음단 해체시 추가측정
지중경사계 그라우팅설치후 4일
터파기진행중
터파기완료후
1회/일(3일간)
2회/주
2회/주
초기치 선정

건물경사계 설치후 1일경과
터파기진행중
터파기완료후
1회/일(3일간)
2회/주
2회/주
초기치 선정

지표침하계 설치후 1일경과후
터파기진행중
터파기완료후
1회/일(3일간)
2회/주
2회/주
초기치 선정


4. 계측위치의 선정 : 계측 위치를 선정함에 있어 필요한 기준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1)사전조사등에 의해 지반조건이 충분히 파악되고 있는 곳. 또는 대표적인 지반상태를 갖는 지점.
(2)표준단면으로 설정한 지점
(3)중요 구조물이 인접하여 있거나 가장 위험하다고 생각되는 지점.
(4)우선적으로 공사를 시행할 지점.
(5)흙막이 구조물이나 지반에 특수한 조건이 있어 공사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지점.
(6)재료나 단면이 변경되는 지점.
(7)교통량이 많은 지점.
(8)하천변 등 지하수위가 높고 수위의 변화가 빈번한 지점.
(9)계기설치와 측정이 용이하고 훼손이 적은 지점.

5. 계측관리 기준치

가. 토압계 : 설계시 사용한 토압분포의 최대값 Pmax를 기준으로 할 때에 실측토압이 한계치를 어느 정도 넘어서면 흙막이 벽체가 위험하게 된다.

표4.4 토압의 관리 기준치

안 정 실측치 ≤ Pmax/1.2
주 의 Pmax/1.2≤실측치
위 험 Pmax/0.8≤실측치
나. 지하수위계 및 간극 수압계 : 실측된 지하수위가 설계 수위보다 높을 경우에는 주의대상이 도니다. 투수성 지반에서 지하수위보다 깊게 터파기할 경우 boiling현상으로 흙막이 벽체 및 주변 지반이 파괴될 수 있다. 표 4.5 Boiling에 대한 관리기준치
안 정 iexit≤0.25
주 의 0.25≤iexit < 0.57
위 험 0.57≤iexit
다. 하중계 : STRUT 부재의 단면에 따른 허용축력과 실측치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이 안정여부를 검토한다.

표4.6 STRUT의 관리 기준치

안 정 실측치 ≤ 부재의허용응력/1.2
주 의 부재의허용응력/1.2≤실측치<부재의허용응력/0.7
위 험 부재의허용응력/0.7≤실측치

Ground Anchor의 경우 실측된 하중이 안정되지 않고 계속해서 감소, 또는 증가하는 경우에는 흙막이 벽의 안정에 문제가 있으므로 주위의 다른 계측항목과 함께 정착구, 자유장, 정착장의 이상유무를 점검하여야 한다.

라. 응력계 : 흙막이 벽체, 엄지 말뚝, 띠장에 발생하는 응력을 측정하기 위해서 Strain gauge를 사용한다. 측정된 허용휨응력에 대한 관리 기준치는 다음과 같다.

표4.7 흙막이 벽체, 엄지말뚝 및 띠장응력의 관리 기준치

안 정 실측응력 ≤ 허용휨응력
주 의 허용휨응력≤실측응력<허용휨응력/0.8
위 험 허용휨응력/0.8≤실측응력

마. 경사계 : 흙막이 벽체 인접지반의 수평변위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경사계를 사용한다. 경사계의 계측관리기준은 수직거리에 대한 수평변위 경사도가 1/300로 하는 경우가 일반적이지만, 이 값외에 상호연관이 되는 흙막이 벽체 변위, 주변지반 침하량 및 인접구조물의 경사도에 대한 계측치를 상호비교하여 검토하고 주변도로, 지하철 또는 주변구조물 등의 관리자와 협의하여 최종 결정한다.

바. 건물 경사계 : 인접 주요 구조물에 설치하여 구조물의 경사변형상태를 측정하기 위하여 건물 경사계를 사용한다. 건물 경사계의 계측관리는 표4.8과 같이 구조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각변위(경사도)의 한게를 기준으로 하여 실시한다. 구조물의 종류에 따른 허용 침하량은 표4.9와 같다.

표4.8 Bjerrum이 제안한 각변위 한계
<img src="../cipftp/img/시공기술/cw04_08.jpg">

표49. 구조물의 허용침하량(Wowers,1962)

침하형태 구조물의 종류 최대 침하량
전체침하 배수시설
출입구
부등침하의 가능성
석적 및 벽돌구조
뼈대구조
굴뚝, 사이로, 매트
15.0-30.0cm
30.0-60.0 cm

2.5-5.0 cm
5.0-10.0 cm
7.5-30.0 cm
전도 탑, 굴뚝
물품적재
크레인 레일
0.004S
0.01S
0.003S
부등침하 빌딩의 벽돌 벽체
철근 콘크리트 뼈대구조
강 뼈대 구조(연속)
강 뼈대 구조(단순)
0.005-0.002S
0.003S
0.002S
0.005S
S:기둥사이의 간격 또는 임의의 두점 사이의 거리

사. 침하계 : 흙막이 벽체 배면의 지반침하 원인에는 여러가지 요인이 있겠지만 가장 중요한 원인중의 하나는 굴착중 누적되는 벽체의 수평변위이므로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벽체와 지반의 강성을 높이고 벽체의 근입깊이를 늘리는 방법이 있다.

표4.10 인접지반 침하량에 대한 관리 기준치

안 정 실측침하량 ≤ 예측침하량
주 의 예측침하량≤실측침하량<허용침하량
위 험 허용침하량≤실측침하량

자. 균열 측정기 : 콘크리트의 허용 균열폭은 기능상과 미관상으로 구분하여 결정한다. 국내에는 허용균열폭에 대한 규정이 없으므로 외국의 관련규정들을 알아보면 표4.11과 같다. 균열에 대한 관리는 방수를 요하는 구조물인 경우 0.2mm, 그외의 경우는 0.4mm를 기준으로 평가할 수 있다.

표4.11 ACI-Committee 224의 허용균열폭

노출조건 최대 허용균열폭(mm)
건조공기 또는 보호층
습기 및 토양
동결 방지제
해수, 해수살포
저수구조
0.40
0.30
0.18
0.15
0.10

차. 진동·소음 측정기
1) 진동기준

표4.12 진동에 대한 관리기준
(독일기준, 서울, 부산 지하철공사에서의 기준)

<table border="1" width="100%">
등급 I II III IV V
건물형태 문화재 주택, 아파트, 상가(작은 균열이 있는 건물) 주택, 아파트, 상가(작은 균열이 없는 건물) 빌딩 및 공장 철근 콘크리트 시설물 주변 컴퓨터
건물기초에서의 허용치 0.2 0.2 1.0 1.0~4.0 0.2

표4.13 II등급 건물의 최대속도 허용치(Banik)

피해정도 최대속도허용치(cm/sec)
전혀 손상없음
경미한 손상
상당한 손상
매우 큰 손상
0.4
0.8
5.0
10.0

2) 소음기준

표4.14 소음의 환경적 기준

대상지역 소음대상 / 시간별 조석 주간 심야
주거지역, 녹지지역, 취락지역중 주거지역, 관광휴양지역, 자연환경보전지역, 학교, 병원의 부지경계선으로부터 50m이내지역 확성기에 의한 소음 옥외설치 70 이하 80 이하 60 이하
옥내에서 옥외로 방사되는 경우 50 이하 55 이하 45 이하
공장 및 사업장의 소음 50 이하 70 이하 45 이하
공사장의 소음 65 이하 80 이하 55 이하
상업지역, 준공업지역, 일반공업지역, 취락지역중 주거지구외의 지구 확성기에 의한 소음 옥외설치 70 이하 65 이하 60 이하
옥냇에서 옥외로 방사되는 경우 60 이하 65 이하 55 이하
공장 및 사업장의 소음 60 이하 65 이하 55 이하
공사장의 소음 70 이하 75 이하 55 이하
비고: 1.대상지역 구분은 국토이용관리법에 의하며, 도시지역은 도시계획법에 의한다.
         2. 공사장 소음의 규제기준은 주간의 경우 소음발생시간이 1일 2시간 미만일 때는 +10dB, 2시간 이상 4시간 이하일때는 +5dB을 보정한 값으로 한다.
단위:dB(A)

6. 지반침하의 원인 : 굴착공사로 인한 지반침하의 일반적인 요인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1)주위 매립상태가 불량한 지반에서의 말뚝관입시 천공작업의 진동으로 인한 압축침하.
(2)토류벽 변위에 따라 배면토 이동으로 인한 침하
(3)지하수 유출시 토사가 함께 배출되어 발생하는 침하
(4)양수시 주변지반의 침하
(5)배수에 의한 점성토의 압밀침하
(6)굴착지반이 연약지반인 경우 지반의 히빙(heaving)으로 인한 배면지반의 침하.
(7)토류판 설치시 뒷채움 시공불량으로 인한 배면지반의 이동 및 침하.
(8)엄지말뚝 인발시 진동 및 인발후 공극 처리불량에 의한 침하
(9)상기 원인에 의해서 발생한 침하로 인하여 인접한 상하수도 관거의 파손으로 일시적으로 많은 물과 함께 토사가 유출되어 발생하는 함몰침하.

시공시에 상기 항목에 대해서 주의깊게 관찰하여 침하를 최소화하고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야 한다.
굴착영향 범위는 지반조건 및 토류벽 형식에 따라 차이가 심하나 개략적인 굴착영향 범위를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사질토층:L=(1.0-2.0)H
점성토층:L=(1.0-4.0)H
암반층:L=(1.0-2.0)H
여기서,
L=굴착영향범위
H=굴착고
 
------------------------------------------------------
흙막이 계측
지반을 대상으로 하는 토류 구조물 공사는 지반 조사 및 설계 단계에서 상세한 검토를 수행하여도 시공 중에 발생하는 벽체의 응력, 변위, 주변 지반 및 기존 구조물의 거동 등을 정확히 예측하기 어렵다.
일반적으로 설계 단계에서 입력하는 지반의 물성치(단위중량, 내부 마찰각, 점착력, 지반계수 등)와 단계별 시공 계획 등이 실제 현장 조건과 정확히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설계 및 시공 방법 등의 수정과 보완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토류 구조물 시공 과정에서 지반 굴착과 지지보 설치 및 해체 단계 공사를 안전하고 경제 적으로 진행하기 위한 기준과 판단 자료를 제시하여 주는 계측 관리에 의한 정보화 시공의 필요성은 더욱 증대되고 있다.
 
1.1 토류 구조물 계측 관리의 역할
산업화 이전의 토류 구조물을 이용한 굴착공사의 깊이는 20m 내외였다.
그러나 근래에 와서 인구의 도시집중으로 인한 생활공간과 주차공간의 필요에 의해, 또한 지하철 공사와 같은 흙막이 터널의 경우, 굴착 깊이가 30m 이상 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따라서 토류벽의 안전뿐만 아니라, 주변지반 및 구조물, 지하매설물, 주민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게 되었고 도심지에서 공사를 하게 되는 경우는 이러한 문제점들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증대되고 있다.
 
1.2 계측 관리의 목적
설계시의 지반 조건 및 설계에 관계되는 각종 정수에 대한 정보의 부족으로 인한 설계상의 불확실성에 대비하여 지하 수위의 변화, 토류벽의 변위, 토압 및 수압의 변화, 인접 지반의 침하 등을 관리하여 설계값과 비교 검토한다.
따라서 토류 구조물 및 지반의 전반적인 거동의 경향을 알 수 있으며, 이 계측 자료를 이용하여 안전도를 사전에 점검하고, 이에 대한 보완책을 강구하기 위한 최적의 시기와 방법을 모색할 수 있도록 한다.
 
1.3 계측 위치의 선정
계측 위치의 선정은 경제성, 시공성을 고려하여 토류 구조물 및 배면지반의 거동을 대표할 수 있는 최소한의 점을 선정하여 최대 효과를 얻도록 해야한다.
  • 지반조건이 충분히 파악되어 있는 곳
  • 설계와 시공면에서 토류 구조물을 대표할 수 있는 장소
  • 중요 구조물이 인접하여 있는 곳 우선적으로 공사가 진행될 곳
  • 토류 구조물이나 지반에 특수한 조건이 공사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곳
  • 교통량이 많아 이로 인한 하중 증감이 있는 곳
  • 하천주위 등 지하수의 분포가 다량이고 수위의 상승, 하강이 빈번한 곳
  • 가능한 계측기기의 훼손이 적은 곳
  • 과다한 변위가 우려되는 지점
  • 현장 작업에 용이한 곳에 설치
1.4 계측항목의 선정
지반 굴착으로 발생될 수 있는 지반 공학적 문제는 현장 여건이나 설계 요건에 따라 다양하나, 토류 구조물 설계 및 시공시 주요 관심 대상에 따라 계측 항목을 분류하면 다음 표와 같다.
측정대상
계측항목
계측기기
육안관찰
토류벽
측압
토압, 수압
토압계, 수압계
벽체의 휨,균열
토류벽 연결부의 연속성 확인
누수, 주변지반의 균열
변형
두부변형
수평변위
측량
경사계(Inclinometer)
벽체의 응력
변형율계
Strut or Anchor
축력, 신축량, 온도
하중계(Load cell)
신축계, 상대변위계, 온도계
Strut의 굴곡, 볼트의 쥠상태
굴착지반
굴착지반 내의 수직 및 수평변위, 간극수압
지중 침하계
굴착 바닥면의 과도한 융기
혹은 균열, 내부지반의 용수
주변지반
지표침하, 지중침하,간극수압, 지중수평변위
경사계, 지중침하계
간극수압계
배면지반의 균열,도로의 표층, 보도블럭 등의 이완 확인
근접구조물
연직변위, 경사량, 균열
침하계, 균열측정기
건물경사계
구조물의 균열 및 경사도
 
1.5 측정 결과의 분석 및 활용
계측의 목적은 계측을 통하여 시공 관리나 안전관리 등에 유용한 결과를 얻어 그것을 이용하는데 있는 만큼, 계측관리에서 얻어진 결과를 어떻게 효과적으로 이용하는가의 여부로 계측의 효과가 평가된다.
측정 결과값이 설계값에 비해 다소 작은 값을 나타내면 문제는 없지만, 설계값에 비해 과대한 경우나 과소한 경우는 재고가 필요하다.
즉, 과대한 경우(위험측)는 우선 긴급 대책을 강구하고 그 이후의 공사를 어떻게 진행할 것인가의 재 설계가 요구되며, 과소한 경우(과안전측)는 긴급한 대책은 요구되지 않지만 공사를 합리적으로 진행하기 위한 재 설계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재 설계가 이루어진 다음에는 그것에 기초하여 공사를 진행하고 관리기준치도 수정된다.
현재 현장 관리나 안전관리를 위한 계측 관리 방법으로는 절대치관리와 예측 관리로 대별할 수 있다.
절대치관리란 시공 전에 설정한 관리기준치와 실측치를 비교 검토하여 그 시점에서 공사의 안전성을 확인하는 방법이다.
예측 관리는 다음 단계 이후의 예측치와 관리기준치를 비교 검토하고 사전에 공사의 안전성을 확인하거나 시공방법을 검토하는 것으로, 여기서 예측치란 현 단계까지의 굴착 상태를 실측치에 기초하여 해석한 결과 얻어진 토질 정수에 의해서 다음 단계굴착이후 토류 구조물의 거동을 추정한 값을 말한다.
 
-------------------------------------
지반을 대상으로 하는 토류 구조물 공사는 지반조사 및 설계 단계에서 상세한 검토를 수행하여도 시공 중에 발생하는
벽체의 응력, 변위, 주변지반 및 기존 구조물의 거동을 정확히 예측하기 어렵다.

일반적으로 설계 단계에서 입력하는 지반의 물성치와 단계별 시공 계획 등이 실제 현장 조건과 정확히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설계 및 시공 방법 등의 수정과 보완이 필요하다.

따라서 토류벽의 안전뿐만 아니라 주변지반 및 구조물, 지하매설물, 주민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게 되었고 도심지에서
공사를 하게 되는 경우는 이러한 문제점들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증대되고 있다.



지중경사계
토 류 벽
배면지반
지반의 심도별 수평변위 위치, 방향, 크기 및 속도를
계측하여 설계상의 변위량과 비교검토하므로써 지반의
이완영역 및 가설구조물의 안전도 및 피해영향권 추정
지하수위계
토 류 벽
배면지반
공사전 수위와 굴착, 그라우팅 등으로 인한 수위와
수압의 변동을 측정하여 주변지반의 투수성과 거동을 예측
간극수압계
배면지반
흙이나 암반에 있어서 간극수압의 변화를 측정하여
안정성 판단
토 압 계
토 류 벽
배면지반
하중으로 인한 토압의 변화를 측정하여 안정성 판단
하 중 계
STRUT
ANCHOR
굴착진행에 따른 Earth Anchor, Struct에 작용하는
축하중을 측정하여 부재의 안정성 판단
변 형 률 계
토류벽심재
STRUT,띠장
각종 강재
강재 및 철골구조물 등에 부착하여 굴착작업 또는
주변작업지 구조물의 응력을 측정하거나 콘크리트속에
매설하여 콘크리트 응력 측정
건물경사계
균열측정기
인접구조물 골조
벽체
굴착공사로 인한 인접건물, 옹벽 등의 주요 구조물의
경사를 측정하여 구조물의 안정성 판단
지중침하계
토류벽 배면
인접구조물 주변
심도별 침하량을 측정하여 침하량의 변동상태를 파악하여
보강 대상 범위의 결정과 최종침하량 예측
지표침하계
토류벽 배면
인접구조물 주변
지표면 침하량의 변화를 측정하고 침하속도의 판단 및
허용침하량과 비교하여 안정성 판단
진동, 소음
주변건물
주거지 축사 등
진동, 소음에 대한 법규정 준수 및 민원 사전 예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