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뜸자료

[스크랩] 신궐. 중완. 관원의 침구치료

목눌인 2011. 7. 6. 09:26

신궐. 중완. 관원의 침구치료(뼈가 약해저서)

 

뜸은 이떤 질병이든 신궐과 관원, 중완을 뜸뜨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빨리 효험이 나타나는 사람은 이 세 개의 혈자리를 뜸뜨는 것만으로 질병이 고쳐지기도 하는 것이다. 또 오래 되고 중한 병이라고 해도 이 세 개의 혈자리를 적어도 사나흘 이상 뜸 뜬 다음 다른 혈자리로 옮겨 뜸을 뜨는 것이 기본이다.
그렇다면 이 세 혈자리에 어떤 신비스런 힘이 있기에 이곳을 심옹이 그렇게 중요하게 생각하는지 알아보자.
신궐, 관원, 중완은 14경맥상 임맥에 속하는 혈자리로 온몸에 퍼져 있는 음경맥을 책임지는 경맥이다. 한자어로도 임맥의 ‘임’은 맡는다는 뜻으로, 기경 8맥 중의 하나로도 꼽히는 맥이다.
예로부터 임맥은 전신의 기능 조절이 제대로 되지 않을 때 먼저 살펴보는 맥으로 상당히 중요하게 생각되는 경맥이다. 하지만 14경맥중의 하나로 인식 될 뿐 다른 뜸 요법이나 침 요법에서는 이 부위만 집중적으로 치료점으로 삼고 있지는 않았다.

 

이곳은 간접뜸기(우각기) 3개를 나란히 올려놓아 뜸을 뜨면 아주 좋다.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은 무엇이든 급한 것이 흠이다. 일도 빨리 해내야 하고, 돈도 빨리 많이 벌어야 한다. 이런 조급증 때문에 많은 사람들은 스트레스에 시달리고, 이로 인해 병이 생겨 고통을 받기도 한다.
하지만 이런 조급함이 자신의 몸에 해를 끼친다는 사실을 알면서도 사람이니까 어쩔 수 없이 또 급하게 서두를 수밖에 없는 노릇이다. 그러나 제아무리 바쁘더라도 세상 모든 것을 느긋하게 바라보는 생각을 갖는 것이 좋다. 몸이 아플 땐 ‘내 몸이 피곤하니까 쉬라고 신호를 보내는 것이구나.’라고 여유롭게 생각하며 며칠 푹 쉰다면 웬만한 병은 훌훌 털어 버릴 수 있다.

허리디스크의 시작의 대개 요통이며 그 가운데에서도 신()이 허해서 오는 요통이다. 허리를 삐끗할 때, 왜 삐끗하게 될까? 외부에서 너무 강한 충격이 왔다면 어쩔 수 없는 일이지만 그게 아니라면 허리뼈가 실하지 못한 탓이다. 뼈는 신에 속하니 신이 허해지면 뼈가 튼실하지 못해 탈이 나고 만다.

삔 것이 오래 되거나 반복되어 병(디스크)이 되면, 허리나 목의 뼈 사이 중 한 쪽은 벌어지고 한 쪽은 붙어 있는 상태가 된다. 붙어 있는 쪽은 건강하지만 벌어져 있는 쪽은 마비되고 힘이 없다. 이는 마치 입과 눈이 한 쪽으로 비뚤어지는 안면신경마비와 같다. 마비되어 힘이 없는 쪽은 늘어지고 건강한 쪽은 상대적으로 당겨져 올라가면서 전체적으로 비틀어지는 형국이 된다.

힘 빠져 비틀어진 쪽을 살려내야

이럴 경우에는 힘이 없어진 쪽을 살려내는 것이 치료의 핵심이다. 입이 돌아간 것을 치료하는 이치와 똑같이 뼈 사이가 벌어진 쪽, 그 힘이 없어진 쪽을 되살리면 된다.

뼈가 제자리를 찾게 하기 위해서는 뼈를 튼튼하게 해야 한다. 뼈는 신()과 신에서 저장된 정()과 관계가 깊다. 신이 저장하고 있는 정은 골수(骨髓)를 생산하고 골수는 뼈의 조직을 보양한다. 따라서 신정(腎精)이 충족되어 골수가 충만해야 뼈가 충분한 영양을 받아 회복된다.

()을 도와 정()을 보태고 배꼽 아래 하초(下焦)를 따뜻하게 해서 허리와 등골뼈를 강하게 하는 자리로는 신유(腎兪) 혈이 으뜸이다. ()의 기가 흘러들어 머무는 신유에 침을 놓고 뜸을 뜨는 것은 시들시들해지는 식물의 뿌리에 물을 주는 것과 같다.  

또한 허리를 삐는 것은 허리뿐 아니라 몸 전체가 허하기 때문이니 몸 전체를 건강하게 하기 위해 침을 놓거나 보양뜸을 떠야 한다. 팔 양쪽의 곡지(曲池) 혈과 다리 양쪽의 삼리(三里) 혈에, 배 가운데 중완(中脘) 혈을 더해 몸 전체 기혈의 균형을 바로 잡는다.

배꼽 아래 기해(氣海) 혈과 관원(關元) 혈로 원기를 더해 신정(腎精)을 촉진하면 전체와 뿌리의 치료가 동시에 이루어진다. 머리 정수리의 백회(百會) 혈로 기혈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고 등의 폐유(肺兪) 혈과 고황(膏肓) 혈로 맑은 기를 잘 흡수하여 순행시키도록 해 준다.

 

 

 

[중완, 신궐, 관원의 뜸]

신궐, 관원, 중완은 14경맥상 임맥에 속하는 혈자리로 온몸에 퍼져 있는 음경맥을 책임지는 경맥이다. 한자어로도 임맥의 '임'은 맡는 다는 뜻으로, 기경팔맥 중의 하나로 꼽히는 맥이다.
뜸은 이떤 질병이든 신궐과 관원, 중완을 뜸뜨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빨리 효험이 나타나는 사람은 이 세 개의 혈자리를 뜸뜨는 것만으로 질병이 고쳐지기도 하는 것이다. 또 오래 되고 중한 병이라고 해도 이 세 개의 혈자리를 적어도 사나흘 이상 뜸 뜬 다음 다른 혈자리로 옮겨 뜸을 뜨는 것이 기본이다.
그렇다면 이 세 혈자리에 어떤 신비스런 힘이 있기에 이곳의 상용이 그렇게 중요하게 생각하는지 알아보자.
신궐, 관원, 중완은 14경맥 상 임맥에 속하는 혈자리로 온몸에 퍼져 있는 음경맥을 책임지는 경맥이다. 한자어로도 임맥의 ‘임’은 맡는다는 뜻으로, 기경 8맥 중의 하나로도 꼽히는 맥이다.
예로부터 임맥은 전신의 기능 조절이 제대로 되지 않을 때 먼저 살펴보는 맥으로 상당히 중요하게 생각되는 경맥이다. 하지만 14경맥중의 하나로 인식 될 뿐 다른 뜸 요법이나 침 요법에서는 이 부위만 집중적으로 치료점으로 삼고 있지는 않았다.

혈 명 개 요 주치 범위

중 완(中脘)

중 완(中脘) 위의 중간 지점을 뜻한다. 위치도 위의 중간 지점에 있다. 음식물의 소화와 흡수를 도와준다. 또한 위의 기능은 얼굴 피부로 나타난다. 위의 기능이 좋은 사람은 얼굴 피부가 뽀송뽀송 하며, 좋 지 않은 사람은 얼굴 피부가 푸석푸석하고 기미가 잘 생긴다. 따라서 위의 기능이 좋으면 부수적으로 피부도 좋아지게 된다.

1. 호홉기계 질환

만성기관지염, 해수, 기관지확장증, 폐 결핵, 늑막염

 

2. 순환기계 질환

심장판막증, 심장신경증, 동맥경화증, 본 태성고혈압, 본태성저혈압

 

3. 소화기계 질환

식도협착증, 급성위염, 만성위염, 위 무력증, 위하수, 위경련, 식욕부진, 구 토, 위산과다증, 위산결핍증, 위궤양, 십이 지장궤양, 급성장염, 만정장염, 설사, 변비, 장신경증, 충수염, 담낭 염, 담석증, 급성간염, 만성간염, 췌 장염, 복막염, 복수, 고창

 

4. 비뇨기계 질환

네프로제(신장병의 일종), 부종, 위축신, 신결석, 오줌 자주 보는 것, 음 위증, 유정

 

5. 신진대사 질환

빈혈, 갑상선비대증, 당뇨병, 각기

 

6. 운동기계 질환

관절염

 

7. 신경계 질환

뇌출혈, 반신불수, 뇌빈혈, 뇌충 혈, 전간, 척수염, 정신 신경증, 신경쇠약, 히스테리, 편두통, 현훈, 횡경막경련, 멀미

 

8. 외과계 질환

결핵성임파선염, 골결핵, 찰항

 

9. 부인과계 질환

자궁후굴증, 자궁하수, 자궁내막염, 불 감증, 냉증, 갱년기장애, 임신오조, 유 즙부족

 

10. 소아과계 질환

습관성구토, 소화불량, 백일기침, 소 아천식

 

11. 안과계 질환

눈 다래끼, 백내장, 중심성망막염, 만성시신경염, 약 시, 안정피로

 

 

관 원(關元)

관 원(關元)은 몸에서 가장 으뜸되는 것에 통한다는 뜻이다. 아랫배에 있는 단전을 말한다. 모든 노인성 질병에 효험이 있다. 관원은 예부터 신선의 호흡법으로 알려져 있는 단전호흡을 하는 혈자리로 콩팥의 기능을 조절하며 노폐물의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하여 생식과 배설을 도와준다. 남자는 정력에 좋고, 여 자는 속병에 좋다.

1. 호홉기계 질환

감기예방, 기관지염예방, 만성기관지염, 기 관지천식, 폐렴, 폐결핵, 오한, 휴통

 

2. 순환기계 질환

심내막염, 심장신경증, 심계항진증, 심 장성천식, 동맥경화증, 본태성고혈압, 본태성저혈압

 

3. 소화기계 질환

만성위염, 위무력증, 위하수증, 식 욕부진, 구토, 위산과다, 위산결핍증, 위 궤양, 장염, 만성장염, 하복통, 설사, 변비, 장출혈, 장신 경증, 만성간염, 복막염, 복수, 고창

 

4. 비뇨기계 질환

네프로제(신장병의 일종), 신장염, 부종, 위축신, 신우염, 신결 석, 신장결핵, 피오줌, 방광염, 요도 염, 전립선염, 오줌이 자주 마려운데, 오줌이 안나오는데, 오줌이 막히는데, 아랫배가 붓는 듯한 데, 발 기불능, 성교불능, 몽 정, 발기감퇴, 조로, 무정충, 발기 도 안되고 사정되는 것

 

5. 신진대사 질환

빈혈증, 바세도병, 갑상선비대증, 당 뇨병, 각기

 

6. 운동기계 질환

관절염, 관절류마티스, 근육류마티스

 

7. 신경계 질환

뇌출혈, 뇌연화증, 뇌졸중예방, 뇌 빈혈, 뇌충혈, 전간, 진전마비, 척 수염, 히스테리, 정신신경증, 신경쇠약, 두 통, 두중(머 리가 멍한데), 현기증, 불면증, 서경, 뒷머리 아픈데, 배 허리 아픈데, 좌골신경통, 요통

 

8. 부인과계 질환

희발월경, 과소월경, 무월경, 과다 월경, 때 없이 나오는 월경, 월경곤란, 대하, 냉증, 자궁후굴증, 자궁하수증, 자 궁내막염, 자궁근종(증상 경감시킴), 자궁부속기염, 불 임증, 불감증, 부인갱년기장애, 임신오조, 임 신부종, 임신(양생법으로), 태아위치이상, 미 약진통(수축력이 약하여 힘이 없을 때), 무통분만, 이완성자궁출혈

 

9. 소아과계 질환

탈장, 야뇨증, 평생을 위해 어렸을 때 뜸해주면 성장해서는 몇 배의 효과가 있다고 한다(사춘기 전).

 

10. 안과계 질환

시력문제 외에 전반적으로 예방을 위해 좋다.

 

11. 이비인후과계 질환

중 이염, 난청, 이명, 만성코염, 인 두염, 만성편도선염, 치육염, 치조농루

 

 

신 궐(神闕)

신 궐(神闕)은 정신의 궁궐이라는 뜻으로 배곱을 말한다. 배꼽은 엄마의 뱃속에 있을때 탯줄을 통해 엄마의 생체에너지를 받아들이는 신성한 곳이다. 어린아이의 배탈에는 신궐혈이 사용된다. 정신적인 의미가 큰 뜸자리이다. 인 사불성, 중풍, 후유증, 뇌질환, 당뇨, 복통, 설사, 곽란, 허약한데 원기를 회복시키며 중완과
동등한 효과가 있다.

 

 

 

 

출처 : 이재창의 침술과 풍수와 문학이야기
글쓴이 : 바람공자 원글보기
메모 :